산업 패러다임 바꿀 '금속 3D 프린터' 시대 온다
핵심 기술 'SLM' 특허 만료로 보급 확대 계기 마련
우주·항공·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제조 혁신' 촉진
이 기사는 포춘코리아 2017년 1월호에 실린 기사입니다.
21세기 연금술로 불리는 3D 프린터가 여러 분야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초창기 기술들이 그렇듯 거품 논란도 적지 않았지만 점차 적용 범위를 늘려나가며 활용도를 높이고 있다. 최근에는 플라스틱 외에도 금속 등 다양한 소재들을 출력할 수 있게 되어 더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금속 3D 프린터의 활용도는 매우 넓다. 최근 금속 3D 프린터 관련 기술 특허가 풀리면서 급속히 보급될 것이라는 전망이 많이 나오고 있다. 그렇다면 금속 3D 프린터 기술력은 어디까지 왔을까.
지난해 말 국내 금속 3D 프린터 제조 기업인 ‘인스텍’이 초대형 금속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는 금속 3D 프린터 제품을 독일과 러시아에 수출해 화제를 모은 바 있다. 인스텍이 수출한 금속 3D 프린터 제품 ‘MX-Grande’는 최대 가로 4미터, 세로 1미터, 높이 1미터 크기의 초대형 금속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다. 인스텍은 러시아와 독일에 5건의 금속 3D 프린터 수출 성과를 올렸다. 고가의 특수 금속분말을 사용하는 기존 금속 3D 프린터와 달리 인스텍 제품은 일반산업용 금속 분말을 사용하기 때문에 경제적인 데다 다양한 합금분말까지 사용할 수 있어 가공소재 선택의 폭이 매우 넓다. 이 때문에 인스텍에 세계적인 우주항공 기업과 러시아 등 각국 정부의 러브콜이 이어지고 있다.
금속 3D 프린터는 사용처가 무궁무진해 제조업의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다. 금속 3D프린터는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했던 초창기 3D 프린터와 달리 다양한 금속 재료를 가공해 원하는 모양으로 제작할 수 있다. 금속 3D 프린터는 금형 없이 부품을 만들 수 있어 제조 비용과 시간을 혁신적으로 줄일 수도 있다. 기존 제조 공정으론 만들기 어려운 복잡한 부품도 생산할 수 있어 산업 현장에서의 활용도가 매우 높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2016년 7조 원 정도인 전 세계 3D 프린터 시장 규모가 오는 2018년에는 14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 가운데 금속 3D 프린터가 절반 정도를 차지할 전망이다.
[출처] 서울경제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