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프린팅 산업 ‘제도정비와 국산화 시급’
소재와 운영 SW 국산화 있어야 기술발전 가능
3D프린팅문화진흥협동조합은 3D 프린터를 단순 판매하는 영리 위주의 단순한 산업구조를 피하고, 콘텐츠 위주의 3D 프린팅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설립된 단체다. 3D 프린팅 기술을 사회에 환원하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국내 3D프린터 기업들은 대부분 중소기업으로 구성돼 있으며 인프라 및 전문 인력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정 이사장은 “국내 3D프린팅 산업 발전에 있어 무엇보다 중요한 사안은 3D프린터 소재의 국산화, 외국의 오픈 소스에 의존하고 있는 운영 SW의 국산화”라고 지적했다. 3D프린팅에 있어 대표적인 적층재는 플라스틱이었지만 최근엔 금속재료가 도입되는 등 3D프린팅 분야에서도 점차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 3D프린팅 산업은 이 같은 기술적 변화에 대응하기엔 너무나 열악한 상황에 처해 있다. 국내 3D프린팅 업체들의 다수는 아직도 외국산 3D프린팅 소재와 장비, SW에 크게 의지하고 있다. 정 이사장은 “해외에선 의료용 티타늄 개발과 3D프린터용 기억소재의 개발, 운영 SW 개선 등을 통해 3D프린팅 적용 분야를 늘려나가는 등 기술적 발전이 이어지고 있는데 국내 3D프린팅 업체들은 소재부터 운영 SW를 해외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아 기술적 발전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소개했다. 그는“3D프린터 분야 기술발전을 위해선 소재 및 운영 SW의 국산화를 통해 해외기술 의존도를 낮출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3D프린팅 분야의 최근 추세는 대형화, 고속화다. 해외에서는 건설 부분에 3D프린팅을 적용할 정도로 그 활용도는 시간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국내 3D프린팅 산업은 외국산 장비 활용 수준에 그치고 있어 관계자들은 안타깝게 하고 있다.
기술개발 제한하는 법규와 규제 개선돼야
해외에서 3D프린팅 적용 범위가 점차 늘어나고 있지만 국내 3D프린팅 산업은 해외처럼 적용 범위를 늘려나가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는 관련 법규와 규제가 아직도 완전하게 갖춰지지 못했기 때문이다. 정 이사장은 “현재 국내에서 국산 3D프린팅 장비를 사용하는 사례는 매우 드물며 대부분 외국산 장비 활용을 하고 있다”면서 “국내 3D프린팅 장비 기술개발이 각종 관련 법규와 규제 때문에 늦어져 국제경쟁력 확보에 어려움이 많다”고 호소했다. 그는 “앞으로 3D프린팅 기술개발과 국제경쟁력 확보를 위해 관련 제도 및 법규의 정비와 개선이 반드시 이뤄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출처] 산업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