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3D프린팅 생활화 전략
- 2017-12-15
- 관리자
∘(3D프린팅 교육 환경 조성) 창의·융합 인재양성 위해 3D프린팅을 활용한 디지털 교육 혁신 ∘(중소기업 활용 확산) 중소기업의 3D프린팅 활용 확산으로 경쟁력 향상 ∘(3D프린팅 이용 확대) 메이커 중심의 창의·창작 활동 증진을 통한 3D프린팅 확산 3D프린팅을 교육, 문화, 중소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함으로써 생활저변까지 확대될 수 있도록 추진한다. 3D프린팅은 개인의 창의력 향상과 중소기업의 맞춤형 제품 제작을 통한 경쟁력 강화를 지원하는 4차 산업혁명의 중요한 수단이다. 그 동안 정부는 ‘14년부터 기술개발, 3D프린팅 지역센터 구축, 삼차원프린팅산업 진흥법 제정(’15.12월) 등 산업기반 조성에 주력하여 왔으나, 학교, 중소기업 등의 활용률은 상대적으로 미흡*한 상황이다. 이에, 3D프린팅의 저변을 확대함으로써 새로운 시장을 만들어 나갈 계획이다. * 학교의 3D프린팅 활용률 8%(경기도 교사 설문조사), 중소기업 3D프린팅 활용률 6% 수준 □ 이번 3D프린팅 생활화 전략에는 ▲ 디지털 교육 혁신을 위해 학교에 3D프린팅 교육 환경을 조성하고 ▲ 중소기업의 활용을 촉진하며, ▲ 국민들이 3D프린팅을 보다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을 담았다. □ 첫째, 3D프린팅 기반 디지털 교육 혁신을 통한 창의력 향상을 지원하기 위해 시·도 교육청과 협력하여 학교에 3D프린터를 단계적으로 보급*한다. * 서울교육청 500개교(~‘22) 시작으로 전국 시·도 교육청과 협력하여 단계적 확대 SW 교육, 기술, 과학 등 교과와 3D프린팅 연계에 필요한 교육용 SW 개발 및 교육 프로그램 등을 지원하고, 순차적으로 시범교육 등을 실시하여 학교의 3D프린팅 교육 환경을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 예를 들어, SW교육을 통해 로봇, 자동차 등의 움직일 수 있는 프로그램을 짜고 외관은 3D프린팅으로 원하는 모양을 디자인 및 출력해서 구동하거나 과학교과에서 인체모형, 분자구조 등 삼차원적으로 이해해야 하는 교구 제작에 3D프린팅을 활용해 볼 수 있다. 둘째, 중소기업의 3D프린팅 활용 제고를 위해 3D프린팅 출력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시제품 제작 바우처를 지원(중기부 협력)할 예정이다. 또한, 소상공인들의 3D프린팅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귀금속, 가구, 완구 등 업종별 3D프린팅 제작 SW를 개발하고, 맞춤형 컨설팅도 병행 추진하게 된다. 아울러, 가정에서 쓸 수 있는 보급형 3D프린터의 성능을 더욱 개선하고, 고구마 전분 등 다양한 생활 친화형 소재를 활용할 수 있도록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셋째, 3D프린팅 이용 저변을 확대하기 위해 전문성 있는 민간 3D프린팅 제작자(maker)가 공공시설 장비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3D프린팅의 전문적 활용을 지원하기 위해 ‘3D프린터 개발산업기사’, ‘3D프린터운용기능사’ 등 국가자격제도(고용부 협력)를 시행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국민들이 3D프린팅을 보다 쉽게 활용하도록 청소년, 군인, 등 대상별 맞춤형 교육을 추진하고, 3D프린팅 설계도면 제공으로 일반인들의 활용능력 향상을 높여 줄 예정이다.